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

[양도세 실수 방지 4편] 손해 봤다고 무조건 세금 깎아줘? NO! [양도세 실수 방지 4편] 손해 봤다고 무조건 세금 깎아줘? NO! ‘세금 내는 주식’ 손실만 인정돼요 양도소득세 손익통산, 무엇을 빼고 무엇을 못 빼는지 중학생도 이해하는 쉬운 가이드 1) 손익통산이 뭐예요? 여러 종목을 사고팔아 이익(+)과 손실(–)이 섞이면, 보통은 합쳐서 순이익만 세금을 매겨요. 이걸 손익통산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아무 손실이나 다 빼주는 건 아닙니다. ‘과세 대상 거래’에서 난 손실만 통산됩니다. 2) 핵심 규칙 한 줄 요약 세금을 매기는 거래끼리만 이익과 손실을 합칠 수 있어요. 원래 비과세인 거래에서 생긴 손실은 세금 깎는 쿠폰이 아닙니다. 3) 무엇이 ‘과세 대상 거래’인가요? .. 2025. 11. 13.
[양도세 실수 방지 3편] 대주주 꼬리표는 쉽게 안 떨어진다! 전량 매도 후 재매수 함정 양도세 실수 방지 시리즈 3편대주주 꼬리표는 쉽게 안 떨어진다!전량 매도 후 재매수 함정난이도: ★★☆ | 대상: 처음 주식·세금 용어를 접하는 독자도 OK이 글에서 배우는 것대주주 판단의 기준시점은 “양도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말”.그 시점에 대주주였다면, 그 해 새로 산 주식을 팔아도 대주주가 양도한 주식으로 보아 과세될 수 있음.한 줄 핵심 — “작년 12/31에 대주주였다면, 올해는 전량 매도→재매수를 해도 양도세를 피하기 어렵다.”1) 왜 이런 실수가 생길까?많은 분이 “지금 가지고 있는 주식이 적으니 소액주주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세법은 ‘지난해 말’의 지위를 먼저 확인합니다. 그때 대주주였다면, 올해의 매도는 원래 대주주가 판 것으로 봅니다.2) 실제 유형으로 이해하기사례 .. 2025. 11. 12.
[양도세 실수 방지 2편] 이혼해도 ‘옛 가족’ 기준? / 장외거래면 소액주주도 과세! 양도세 실수 방지 시리즈 2편 이혼해도 ‘옛 가족’ 기준? / 장외거래면 소액주주도 과세! 대상: 처음 주식·세금 용어를 접하는 독자도 OK | 난이도: ★★☆ 이 글에서 배우는 것 특수관계(가족) 판단 시점은 “양도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말”이라는 점 상장주식이라도 장외로 팔면 소액주주라도 과세된다는 점 핵심 한 줄 — 세금 세계는 “그때의 가족(직전연도 말)”과 “어디서 팔았는지(장내/장외)”를 봅니다. 1) 함정 #1 — 이혼해도 소용없다? 직전연도 말의 가족 관계가 기준 대주주 판단은 나 혼자 가진 주식만 보지 않고, 배우자·직계존비속 등 특수관계인의 지분을 합산합니다. 그리고 그 특수관계 여부는 “양도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직전 사.. 2025. 11. 11.
[양도세 실수 방지 1편] 주식 매매는 계약일? NO! '결제일(T+2)'로 대주주가 결정돼요! 양도세 실수 방지 시리즈 1편주식 매매는 계약일? NO! 결제일(T+2)로 대주주가 결정돼요!대상: 처음 주식·세금 용어를 접하는 독자도 OK|난이도: ★☆☆핵심 한 줄 — 상장주식 대주주 여부는 “매매계약 체결일(거래 클릭한 날)”이 아니라 결제일(T+2 영업일) 기준으로 판단해요.1) 왜 이게 중요하죠?대주주면 상장주식을 팔 때 양도소득세를 내야 할 수 있어요.많은 분이 계약일과 결제일을 혼동해서 신고 누락·가산세를 맞아요.2) 용어 두 개만 기억하세요용어뜻눈으로 이해매매계약 체결일 (거래한 날)“사고팔기 약속”을 한 날짜(앱에서 클릭한 그날)숙제를 다 했다고 말만 한 날결제일 (T+2 영업일)주식과 돈이 실제로 교환되어 소유권이 넘어가는 날선생님이 숙제 완료 도장을 찍어준 날3) 국세청이 지적한 ‘.. 2025. 11. 11.
체납 은닉재산 신고 가이드: 홈택스/위택스 절차·포상금·증빙 체크리스트 체납 은닉재산 신고 가이드: 홈택스/위택스 절차·포상금·증빙 체크리스트 국세청·지자체 합동수색(2025-11-10 발표) 후속 실무 가이드 신고 경로(요약) 국세(국세청): 홈택스 → 상담/제보 → 탈세제보 → 체납자 은닉재산 신고 지방세(지자체): 위택스 → 지방세정보 → 탈세제보 → 은닉재산 전화: 국번 없이 126 (ARS ④) 1) 포상금, 언제 가능한가? 제보로 세무조사·징수가 이뤄지고 추징세액(국세 기준)이 일정액 이상 납부되면 포상금 지급(기관 기준 적용) 법적·정책 기준은 제도 고시·내부 규정에 따르며, 구체적이고 중요한 자료일수록 인정 가능성↑ 2) 무엇을 어떻게 올리나(증.. 2025. 11. 10.
세금은 안 내고 호화생활? 합동수색 결과와 주요 사례(국세청·지자체) 세금은 안 내고 호화생활? 합동수색 결과와 주요 사례(국세청·지자체) 발표: 2025-11-10 · 주관: 국세청 + 7개 광역지자체 한눈에 보기 기간: 2025.10.20~10.31(약 2주), 합동수색 집중 실시 대상: 국세·지방세 동시 체납 및 호화생활·은닉 정황이 뚜렷한 자 성과: 현금 약 5억, 명품·귀금속·시계 등 포함 총 18억 원 압류 방식: 국세청 정보 + 지자체 현장 네트워크(관제·관리) 결합, 잠복/탐문/수색 동시 수행 1) 합동수색 핵심 정보결합: 국세청(은닉·자금흐름) × 지자체(현장·생활정보)로 타깃·장소 정밀 선별 기동성: 합동반이 현장 잠복 → 탐문 → 수색을 일괄 대응 .. 2025.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