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서울시] 폐의약품 이렇게 버리세요 — 위치·배출요령 한 장 가이드

by 임셈 2025. 10. 24.
반응형
[서울시] 폐의약품 이렇게 버리세요 — 위치·배출요령 한 장 가이드
2025-10-24 업데이트 · 서울시 공식 기사 근거

폐의약품, 이렇게 버리세요 — 위치·배출요령 한 장 가이드(서울시)

우체통·주민센터·보건소 수거함 어디에 버리는지, 알약/물약/연고/흡입제별 처리법과 자주 하는 실수까지 바로 따라 하기 버전으로 정리했습니다.

1) 한 눈에 요약

  • 서울시 수거함: 총 1,771개(공공 938·우체통 833). 동당 평균 4개 수준.
  • 약국 QR: 서울시 약국 약 5,500개소에 QR 스티커·포스터 비치 — 스마트폰으로 곧바로 위치 확인.
  • 배출 핵심: 알약/캡슐/조제약은 포장·밀봉 상태로, 물약·시럽·연고 등 액상·반고형은 뚜껑 닫아 수거함으로. 물약은 우체통 금지.

※ 수치는 기사 기준(2025-10-24)입니다. 자치구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2) 어디에 버리나?

① 우체통
서울 전역 우체통 활용(833개). 물약·시럽은 금지. 봉투에 ‘폐의약품’ 표기 후 밀봉 투입.
② 전용 수거함
구청·주민센터·보건소·복지관 등에 설치(938개). 액상·연고·흡입제·주사기 등은 수거함으로.
③ 약국(일부)
7개 자치구 약국 1,720개소에서 자체 수거 운영(자치구별 상이). 현장 안내문 기준 따르기.

3) 무엇을 어떻게 담나? (종류별)

종류배출 방법우체통 가능
알약·캡슐·조제약가능하면 포장·밀봉 상태 그대로 배출. (현장 안내에 따라 PTP에서 분리해 봉투 밀봉을 요구할 수 있음)가능
가루약봉투에 모아 밀봉.가능
물약·시럽용기 뚜껑을 꽉 닫아 누수 방지 후 수거함 투입.불가
연고·크림·점안액용기 그대로 수거함.불가(수거함 권장)
흡입제·스프레이원래 용기/포장 그대로 수거함.불가(수거함)
주사기·주사제뚜껑/케이스 등 안전 포장 후 수거함. (자치구 지침 우선)불가(수거함)
건강기능식품의약품이 아님 → 일반쓰레기 배출.해당없음
현장 수거함 안내문이 본문과 다를 경우 현장 안내를 우선하세요(자치구·위탁업체 운영 기준 상이).

4) 배출 순서 — 3단계

  1. 분류: 알약/가루 vs. 액상/연고/흡입제/주사기.
  2. 포장: 알약·가루 → 봉투 밀봉 + ‘폐의약품’ 표기 / 액상·연고류 → 용기 뚜껑 꽉.
  3. 배출: 가까운 우체통 또는 수거함에 투입(물약·연고·주사기 등은 수거함).

5) 자주 하는 실수(DON’Ts)

  • 물약을 우체통에 → 우편물 오염 위험. 반드시 수거함으로.
  • 하수구에 붓기 또는 일반쓰레기 혼합 → 환경오염·내성균 위험.
  • 약국이면 다 수거 → 약국별 운영 상이. 스마트서울맵/QR로 공공 수거함 우선 확인.

6) 위치 찾는 법

  • 스마트서울맵: ‘폐의약품’ 검색 → 구청·주민센터·보건소·복지관 등 위치 바로 확인.
  • 약국 QR 스티커: 서울시 배포 스티커를 스캔하면 해당 동 수거함 위치로 바로 연결.
  • 문의: 다산콜센터 120.

7) FAQ

Q1. 빈 약병을 씻어서 버리나요?

세척 불필요. 뚜껑만 단단히 닫아 누수 방지 후 수거함에 넣으세요.

Q2. 처방전·약봉투 개인정보는?

주민센터/보건소 수거함은 폐기 전문 경로로 소각됩니다. 민감정보 노출 우려가 있으면 약명·개인정보는 스티커/펜으로 가리고 배출하세요.

Q3. 대량 배출은 어디로?

약국 QR 또는 스마트서울맵으로 가까운 공공 수거함을 확인해 분할 배출하세요. 병·의원 배출은 의료폐기물 규정이 따릅니다.

태그·요약(메타)

태그

폐의약품 수거함 우체통 스마트서울맵 환경보호

요약(메타)

요약: 서울에선 우체통·주민센터·보건소로 폐의약품을 쉽게 배출할 수 있습니다. 물약은 우체통 금지, 알약·가루는 밀봉 후 배출하세요. 위치는 스마트서울맵/약국 QR로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디스클레이머

본 글은 서울시 공식 기사 요지를 바탕으로 정리한 시민 안내입니다. 최종 기준은 각 자치구·현장 수거함 안내문을 따르세요.

© KR Tax Policy · 문의: krtaxpolicy@gmail.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