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CMA·RP, 이름은 비슷해도 세금은 다르다
채권 이자, CMA(RP형·MMF형), RP 수익의 분류(이자/배당), 원천징수, 중도매도 상황을 표·예시로 정리합니다. 자세한 기본 개념은 [1화], 임계치는 [2화]를 참고하세요.
1) 3줄 요약
② CMA는 RP형은 이자, MMF형은 배당처럼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③ 같은 “유동성 투자”라도 과세·합산이 달라지니 연말 전 상품 구조·지급명세를 꼭 확인하세요.
2) 상품 정의(아주 쉽게)
- 채권: 기업·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서(표면이자/할인발행차익 포함).
- RP(환매조건부채권): 증권사가 일정 수익률을 약속하고 채권을 사고 되파는 거래.
- CMA: 남는 돈을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계좌. RP형(이자 성격)·MMF형(실적배당 성격) 등으로 나뉘어요.
3) 과세 비교표
항목 | 채권 | CMA(RP형) | CMA(MMF형) | RP |
---|---|---|---|---|
소득 구분 | 이자소득 | 이자소득 | 배당소득(실적배당) | 이자소득 |
원천징수(국내) | 보통 15.4% | 보통 15.4% | 보통 15.4% | 보통 15.4% |
종합과세 합산 | 예 | 예 | 예 | 예 |
주요 확인서류 | 이자지급명세, 매매내역 | 상품설명서, 이자명세 | 상품설명서, 분배명세 | 약정서, 이자명세 |
※ 예·세율은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 안내입니다. 상품·연도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어요.
4) 지급시점·원천징수
- 채권: 이자 지급일 또는 만기일에 원천징수 적용. 할인채는 차익에 대해 과세.
- CMA: 증권사 공시에 따른 지급주기(일·월 등). RP형=이자, MMF형=배당으로 집계될 수 있어요.
- RP: 약정 수익률 기준으로 만기/환매 시점에 원천징수.
5) 케이스: 보유·중도매도·할인채
케이스 A 표면이자 채권 보유 — 이자지급일마다 원천징수 후 입금. 연말 합산 시 이자소득으로 집계.
케이스 B 중도매도 — 매도가격에 따라 매매차손익이 생길 수 있어요(매매차익은 이자소득과 별개로 취급될 수 있으니 거래내역을 보관).
케이스 C 할인채 — 액면가보다 싸게 사서 만기에 받는 차익에 과세. 원천징수 후 이자소득으로 합산.
6) 실전 체크리스트
- 상품 구조 확인: CMA는 RP형/MMF형 구분, 채권은 표면이자/할인 여부.
- 지급명세 수집: 이자·분배명세, 거래내역, 약정서.
- 귀속연도 점검: 지급일 기준으로 연도 합산.
- 임계치 모니터링: 연간 합계가 커지면 [6화] 전략 참고.
7) FAQ
Q1. CMA 수익은 이자 또는 배당 중 무엇인가요?
구조에 따라 달라요. RP형은 전형적으로 이자, MMF형은 배당 성격이 많습니다. 증권사 상품설명서와 연간 지급명세를 확인하세요.
Q2. 채권을 중도매도하면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이자와 매매차손익은 구분될 수 있어요. 이자 부분은 원천징수되고, 매매차손익은 거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거래내역을 보관하세요.
Q3. RP 수익은 어떻게 과세되나요?
약정 수익률에 따라 이자소득으로 보고 지급 시 원천징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8) 공식 근거 링크
※ 세율·공제·상품 구조는 해마다 바뀔 수 있어요. 발행 시점의 공식 사이트 안내를 확인하세요.
디스클레이머
본 글은 일반적인 세무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이며, 특정 사실관계에 대한 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제도·세율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결정 전에는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2025.09.24 - [분류 전체보기] - [3화] 배당주 투자자의 세후수익 계산법 — 배당락·세금 한 번에
2025.09.24 - [분류 전체보기] - [2화] 금융소득 종합과세 2,000만원 룰, 10분 요약
2025.09.24 - [분류 전체보기] - [1화] 금융소득의 모든 것: 이자 vs 배당, 어디까지가 과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