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주 투자자의 세후수익 계산법 — 배당락·세금까지 한 번에
세전/세후 배당수익률, 배당락(배당 받는 기준일 다음 날 가격 조정), 원천징수 15.4%를 표·예시로 간단 정리합니다.
1) 3줄 요약
① 국내 배당금은 보통 지급 시 15.4%(소득세 14%+지방세 1.4%)가 자동으로 떼여요.
② 세후 배당수익률 = 배당금 × (1-0.154) ÷ 매수가격.
③ 배당 다음 날 배당락으로 주가가 그만큼 조정될 수 있으니, 단기 차익만 노리면 기대와 다를 수 있어요.
② 세후 배당수익률 = 배당금 × (1-0.154) ÷ 매수가격.
③ 배당 다음 날 배당락으로 주가가 그만큼 조정될 수 있으니, 단기 차익만 노리면 기대와 다를 수 있어요.
2) 핵심 개념(아주 쉽게)
- 배당기준일/배당락: 배당을 받으려면 기준일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해요. 다음 날에는 보통 그만큼 가격이 조정되는 것을 배당락이라고 해요.
- 원천징수: 배당금에서 15.4%를 먼저 떼고 입금해요. 연말에 [2화] 기준을 넘으면 종합과세로 정산할 수 있어요.
- 세전 vs 세후: 눈에 보이는 배당금(세전)과 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세후)은 달라요.
3) 계산식(세전→세후)
세후 배당수익률(%) = 배당금 × (1 − 0.154) ÷ 매수가격 × 100
※ 15.4%는 국내 배당의 전형적 원천징수 예시입니다. 상품·연도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어요.
4) 세전·세후 수익률 비교표
배당금(주당) | 매수가격 | 세전 수익률 | 세후 수익률(15.4%) |
---|---|---|---|
1,000원 | 30,000원 | 3.33% | 2.82% |
1,200원 | 30,000원 | 4.00% | 3.38% |
1,500원 | 40,000원 | 3.75% | 3.17% |
2,000원 | 50,000원 | 4.00% | 3.38% |
(계산: 세후수익률 = 배당금×0.846 ÷ 매수가격)
반응형
5) 케이스: 3만 원 주식, 배당 1,200원
상황 3만 원에 매수한 주식이 주당 1,200원을 배당한다고 가정해요.
세전 수익률 = 1,200 ÷ 30,000 = 4.00%
세후 수익률 = 1,200 × 0.846 ÷ 30,000 ≈ 3.38%
주의: 배당 다음 날(배당락) 주가가 내려갈 수 있어요. 단기 차익만 목표라면, 배당으로 얻는 이익이 주가 조정보다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실전 팁 5
- 배당월 분산: 배당 받는 달을 분산하면 연간 합계 관리에 유리해요(종합과세 임계치 참고).
- 매수가격 민감도: 같은 배당금이라도 매수가가 낮을수록 수익률은 커져요.
- 계좌 전략: ISA/연금계좌 등 세제계좌를 검토하세요(상품·요건 확인).
- 일회성 특별배당: 매년 반복되는지 확인해요. 일회성이면 기대수익률을 과대평가할 수 있어요.
- 수수료·세금 합산: 거래수수료, 증권거래세 등 투자 전체 비용도 함께 보세요.
7) FAQ
Q1. 배당세율은 항상 15.4%인가요?
국내 배당은 보통 소득세 14% + 지방세 1.4%가 원천징수돼요. 다만 제도·상품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으니, 국세청 최신 안내를 확인하세요.
Q2. 해외 배당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국가별 원천세율이 달라요. 국내 정산과 외국납부세액공제는 [7화]에서 다룹니다.
Q3. 배당락에 꼭 주가가 빠지나요?
원칙적으로 배당만큼 조정될 수 있지만, 시장 상황·수급에 따라 다르게 움직일 수 있어요.
8) 공식 근거 링크
※ 세율·공제는 해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항상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안내를 확인하세요.
디스클레이머
본 글은 일반적인 세무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이며, 특정 사실관계에 대한 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제도·세율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결정 전에는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2025.09.24 - [분류 전체보기] - [2화] 금융소득 종합과세 2,000만원 룰, 10분 요약
2025.09.24 - [분류 전체보기] - [1화] 금융소득의 모든 것: 이자 vs 배당, 어디까지가 과세일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