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체납자 실태확인을 위한 ‘국세 체납관리단’ 본격 추진
생계형 체납자는 재기 지원, 고액·상습체납자는 엄정 대응 — 맞춤형 징수체계 구축.
한눈에 보기
- 배경: 체납액은 ’21년 99.9조 → ’24년 110.7조로 증가, 체납자 133만 명(’24년말).
- 목표: 모든 체납자 가가호호 방문·실태확인 → 유형 분류 기반 맞춤관리.
- 본격 운영: 내년 3월 시작 계획, 3년간(’26~’28) 전수 1회 이상 실태확인.
- 시범운영: 2025.9.3~9.16, 7개 광역권, 10~17시 운영.
- 효과: 생계형 복지연계·재기지원, 고액·상습체납 추적·징수 강화, 공공일자리 창출.
체납 규모(추이) & 전수 실태확인
체납액·체납자 수 추이
’21 99.9조 → ’22 102.5조
→ ’23 106.1조 → ’24 110.7조
체납자: ’21 1,276,000 → ’24 1,330,000
전수 실태확인(플랜)
’26~’28 133만 명 1회 이상 방문, 경제상황 확인·유형 분류 → 맞춤 조치
체납자 유형별 조치(요약)
유형 | 판단 기준(예) | 주요 조치 |
---|---|---|
생계형 | 재산·소득 미비로 납부 곤란 | 복지부처 연계, 경제활동 재기 지원 |
일시적 납부곤란 | 일시적 위기이나 납부의지 有 | 강제징수·제재 보류, 분납 유도 |
고의적 납부기피 | 능력 有·회피 정황(재산 은닉 등) | 가택수색, 압류·공매, 사해행위 소송, 고발, 추적조사 |
운영 계획 & 절차
시범운영(2025.9.3~9.16)
- 지역: 서울·수원·인천·대전·광주·대구·부산(7)
- 대상: 약 4천 명
- 시간: 오전 10시~오후 5시
본격 운영(내년 3월~)
- 1년차: 7개 지방청 소재 광역권 중심 설치·운영
- 2~3년차: 전국 133개 세무서로 확대
- ’26~’28 전 체납자 전수 1회 이상 방문
실태확인 절차(요약)
- 사전 안내(문자·전화) 및 방문 일정 조율
- 주소/사업장 방문 → 주거실태·납부능력 확인
- 유형 분류(생계형/일시적/고의적) 및 후속 조치
기대효과
- 민생·복지: 생계형 체납자 복지 연계 등 경제적 재기 지원.
- 공공일자리: 실태확인원(청년·경단녀·은퇴자 등) 채용으로 일자리 창출.
- 정밀 징수: 현장자료+빅데이터 분석으로 고액·상습체납 추적 강화.
납세자 체크리스트
- ✅ 방문 전 문자·전화 사전 안내 여부 확인
- ✅ 실태확인 내용: 생활실태·납부의사·분납계획 등
- ✅ 운영 시간대(대면): 10:00~17:00 중심
※ 상세 운영은 지역·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국세 체납관리단은 왜 출범하나요?
증가한 체납 규모에 대응하고, 비대면 중심 행정으로 줄어든 현장 확인을 보완해 맞춤형 체납관리를 구축하기 위해서입니다.
누가 방문하나요?
국세청이 채용한 실태확인원(일반 시민)이 사전 안내 후 주소지·사업장을 방문하여 생활·경제 상황을 확인합니다.
생계형 체납자는 어떻게 지원되나요?
지자체·복지부처와 연계해 긴급복지·취업지원 등 재기 프로그램을 안내·연결합니다.
고의적 납부기피자는?
가택수색·압류·공매·사해행위 소송·고발·추적조사 등 가능한 조치를 총동원합니다.
언제부터 본격 운영되나요?
시범운영(’25.9.3~9.16) 이후 내년 3월 본격 운영을 시작하며, ’26~’28년 전수 방문을 추진합니다.
국세 카드납부 가이드 (홈택스·손택스·카드로택스)
국세 카드납부 가이드 (홈택스·손택스·카드로택스) 전자납부번호 입력부터 납부영수증 출력까지. 채널별 이용시간·수수료·주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홈택스 바로가기 카드로택스(금융결제
krtaxpolicy.com
'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급여 이체는 어디로? 연금저축 vs IRP · 중도인출 조건 & 세금 총정리 (0) | 2025.09.05 |
---|---|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득세 과세 대상일까? (2) | 2025.08.16 |
소액주주도 장외거래 시 양도소득세 신고 대상…2025년 달라진 세법 안내 (8) | 2025.08.14 |
외국인 고가 아파트 탈세 적발…강남3구 편법증여 실태 충격 (8) | 2025.08.14 |
기업업무추진비 수입금액 기준과 매출 관련 세무조정 포함 여부 (6)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