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법인세2

주식회사 vs 유한회사 2편 – 외부감사, 현물출자, 지분관리·세무까지 실무 비교 주식회사 vs 유한회사 2편 – 외부감사, 현물출자, 지분관리·세무까지 실무 비교 1편에서 주식회사와 유한회사의 구조와 기본 개념을 정리했다면, 2편에서는 실제로 법인을 설립하고 운영할 때 중요한 외부감사, 현물출자, 지분 양도, 세무 관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유한회사는 외부감사를 안 받는다? (X) 종종 “유한회사는 감사도 안 받고 그냥 가족끼리만 운영하면 되지 않나요?”라는 질문을 받습니다. 하지만 일정 규모 이상이면 유한회사도 외부감사 대상입니다. 다음 기준 중 3개 이상을 충족하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구분 기준 자산 120억 원 .. 2025. 11. 18.
임대부동산을 개인·법인이 공동소유할 때 사업자등록·부가세·소득세 신고 한 번에 정리(2025) 임대부동산을 개인·법인이 공동소유할 때 사업자등록·부가세·소득세 신고 한 번에 정리(2025) 하나의 지번(토지+건물)을 A(개인) 90%, B(법인, A의 특수관계)가 10% 지분으로 공유하는 임대사업에서 ① 사업자등록 방법, ② 부가가치세·소득세/법인세 신고, ③ 공동사업분배명서 작성 여부를 케이스별로 정리했습니다. ✅ 핵심 요약 하나의 지번·구분 안 됨 → 공동사업자 등록이 원칙(소유만 지분이고 사용·수익 구분 불명확). 지분별로 사용·수익이 명확히 구분되고 각자 자기 책임·계산으로 임대하면 각자 단독 사업자등록 가능(사실관계 입증 필요). 공동사업이면 부가세는 공동사업자 명의로 신고, 개인·법인은 각 지분만큼 손익 반영(개인은 종합소득세, 법인은 법인세). 공동사업분배명서: 개인 파트.. 2025.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