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8화] 절세 포트폴리오 설계 — ISA·연금저축·IRP와 금융소득의 조합

by 임셈 2025. 9. 29.
반응형
[8화] 절세 포트폴리오 설계 — ISA·연금저축·IRP와 금융소득의 조합
2025-09-29 업데이트 · 국세청/법조문 근거

절세 포트폴리오 설계 — ISA·연금저축·IRP와 금융소득의 조합

이자·배당이 커질수록 세제계좌(ISA·연금저축·IRP)를 언제·무엇에 쓸지가 중요해요. 계좌별 규칙을 표·예시로 쉽게 정리했습니다. 기본 개념은 [1화], 임계치는 [2화]를 참고하세요.

1) 3줄 요약

과세 소득(이자·배당)은 가급적 세제계좌에서 받는 게 유리할 수 있어요.
② 다만 각 계좌의 한도·의무·인출 규칙이 달라요. 목적에 맞게 고르세요.
③ 임계치(2,000만원) 관리가 필요하면 수취시점 분산과 함께 계좌 배치로 리스크를 줄여요([6화] 참고).

2) 세제계좌 한눈 개요

  • ISA: 여러 금융상품을 담는 통합계좌. 일정 한도 내에서 비과세·분리과세 혜택 구성이 가능(세부 요건은 연도·유형별 상이).
  • 연금저축: 노후 준비용. 납입액에 세액공제 혜택이 있고, 인출 시 연금으로 받으면 세율이 달라질 수 있어요.
  • IRP: 퇴직연금 개인형. 추가 납입 시 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인출 규정이 더 엄격할 수 있어요.

※ 실제 한도·세율·공제 요건은 해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발행 시점의 공식 안내를 꼭 확인하세요.

3) ISA·연금저축·IRP 비교표

항목ISA연금저축IRP
주요 목적종합 투자+절세노후 자금퇴직·노후 자금
혜택 성격비과세/분리과세 한도납입 세액공제+연금 과세납입 세액공제+연금 과세
인출 규칙만기·유형별 상이연금 수령 권장연금 수령 중심(제한 엄격)
적합 소득이자·배당 수취장기투자·배당 재투자장기투자·배당 재투자
유의 사항유형·기간 확인중도해지 불이익중도인출 제약 큼

4) 조합 설계 예시(3가지)

예시 A 현금흐름형 — 고배당 ETF/채권형 펀드의 분배를 ISA에 배치해 과세 부담을 줄이고, 일반계좌에서는 성장주 위주로 보유.

예시 B 장기연금형 — 배당주/채권 ETF를 연금저축·IRP에서 장기 보유하며 세액공제 혜택을 활용. 단, 인출 규칙을 반드시 고려.

예시 C 임계치 관리형 — 일반계좌 분배가 많은 달에는 세제계좌에서의 수취를 다음 분기로 분산(가능 범위 내), 연초에 [2화] 기준으로 연간 합계 플래닝.

주의: 절세만 보고 상품을 바꾸면 총수익이 떨어질 수 있어요. 수수료·유동성·인출 제약까지 같이 보세요.
반응형

5) 체크리스트

항목확인메모
연간 합산표 최신화(이자·배당 세전)
세제계좌 보유 현황(유형·만기·한도)
인출 규칙/수수료/제약 정리
배당월·이자지급월 분산 계획
가족 단위 분산 전략(법령 확인)

6) FAQ

Q1. ISA에 넣으면 배당세를 안 내나요?

ISA의 혜택은 유형·한도·연도에 따라 달라요. 전액 면세라고 단정할 수는 없고, 비과세/분리과세 한도 범위에서 효과가 있을 수 있어요.

Q2. 연금저축·IRP는 언제부터 꺼낼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연금 수령 개시 연령요건을 충족해야 유리한 세율로 받을 수 있어요. 중도 인출 시 불이익이 생길 수 있어요.

Q3. 어떤 소득을 어떤 계좌에 담는 게 좋아요?

원칙은 과세가 큰 소득(이자·배당)을 세제계좌에, 가격 상승 중심 자산은 일반계좌에 두는 방식이 많아요. 다만 개인의 목표·기간·현금흐름에 따라 달라집니다.

디스클레이머

본 글은 일반적인 세무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이며, 특정 사실관계에 대한 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제도·세율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결정 전에는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 KR Tax Policy · 오류 제보: krtaxpolicy@gmail.com

2025.09.26 - [분류 전체보기] - [7화] 해외주식 배당·이자 과세 — 원천세·외국납부세액공제 실전

2025.09.26 - [분류 전체보기] - [6화] 고배당 시즌 생존법 — 2천만원 임계치 근접 시 액션 5

2025.09.26 - [분류 전체보기] - [5화] 펀드·ETF 분배금의 함정 — ‘배당’일까 ‘환매차익’일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