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1편) 2025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개요·대상·신고 흐름

by 임셈 2025. 11. 7.
반응형

(1편) 2025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무엇이, 누구에게, 어떻게 적용될까

2025년부터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가 본격 시행됩니다. 소득을 지급 시점에 가깝게 신고·집계해 세금·사회보험 반영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글(1편)은 제도 개요, 대상, 신고 흐름, 제출기한을 보기 좋게 정리합니다.


✅ 한눈에 보는 핵심

  • 무엇: 근로·사업·기타 등 다양한 소득을 월 단위·지급 시점 기준으로 빠르게 신고
  • : 연말 일괄 확인의 불편을 줄이고, 정확한 세액/사회보험 반영
  • 누가: 소득 지급자(법인·개인사업자·플랫폼·기관 등)
  • 어떻게: 홈택스/손택스, 일괄업로드, API 연계 등 다양한 채널

🧭 적용 대상·범위

  • 소득 지급자: 급여·수수료·용역대가 등을 지급하는 모든 주체
  • 주요 소득유형: 근로소득, 사업소득(프리랜서/플랫폼), 기타소득 등
  • 단계 적용: 업종·규모·형태에 따라 적용 시기·범위가 차등될 수 있음

🗂 신고 흐름(기본 절차)

  1. 지급: 급여·수수료·정산금 등 소득 지급
  2. 자료작성: 지급대상, 지급액, 원천세(해당 시) 등 지급명세 정리
  3. 제출: 홈택스/손택스 입력 · 파일 업로드 · API 연계 중 선택
  4. 확인: 접수결과·오류내역 확인 → 정정 제출(필요 시)

TIP

  • 지급 건수가 많으면 일괄업로드 또는 API가 효율적입니다.
  • 소득유형별 코드·기재항목이 달라 전표 표준화가 중요합니다.

🗓 제출 기한(개요)

  • 원칙: 지급월 기준으로 정해진 월 단위 기한 내 제출(예: 지급월 다음달 말일 등)
  • 정정: 제출 후 오류 발견 시 정정 신고 가능
  • 지연: 미제출·지연 시 가산세 등 불이익 가능 → 마감 관리 필수

📋 제출 항목(요지)

  • 지급자·지급받는 자 식별(명칭/등록번호 등)
  • 지급일·지급액, 소득유형, 원천징수세액(해당 시)
  • 유형별 필수/선택 항목은 세부 안내에 따름

※ (1편) 제도 ‘뼈대’ 정리입니다. (2편)에서 Q&A·사례·체크리스트·캘린더를 제공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