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편) 2025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무엇이, 누구에게, 어떻게 적용될까
2025년부터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가 본격 시행됩니다. 소득을 지급 시점에 가깝게 신고·집계해 세금·사회보험 반영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글(1편)은 제도 개요, 대상, 신고 흐름, 제출기한을 보기 좋게 정리합니다.
✅ 한눈에 보는 핵심
- 무엇: 근로·사업·기타 등 다양한 소득을 월 단위·지급 시점 기준으로 빠르게 신고
- 왜: 연말 일괄 확인의 불편을 줄이고, 정확한 세액/사회보험 반영
- 누가: 소득 지급자(법인·개인사업자·플랫폼·기관 등)
- 어떻게: 홈택스/손택스, 일괄업로드, API 연계 등 다양한 채널
🧭 적용 대상·범위
- 소득 지급자: 급여·수수료·용역대가 등을 지급하는 모든 주체
- 주요 소득유형: 근로소득, 사업소득(프리랜서/플랫폼), 기타소득 등
- 단계 적용: 업종·규모·형태에 따라 적용 시기·범위가 차등될 수 있음
🗂 신고 흐름(기본 절차)
- 지급: 급여·수수료·정산금 등 소득 지급
- 자료작성: 지급대상, 지급액, 원천세(해당 시) 등 지급명세 정리
- 제출: 홈택스/손택스 입력 · 파일 업로드 · API 연계 중 선택
- 확인: 접수결과·오류내역 확인 → 정정 제출(필요 시)
TIP
- 지급 건수가 많으면 일괄업로드 또는 API가 효율적입니다.
- 소득유형별 코드·기재항목이 달라 전표 표준화가 중요합니다.
🗓 제출 기한(개요)
- 원칙: 지급월 기준으로 정해진 월 단위 기한 내 제출(예: 지급월 다음달 말일 등)
- 정정: 제출 후 오류 발견 시 정정 신고 가능
- 지연: 미제출·지연 시 가산세 등 불이익 가능 → 마감 관리 필수
📋 제출 항목(요지)
- 지급자·지급받는 자 식별(명칭/등록번호 등)
- 지급일·지급액, 소득유형, 원천징수세액(해당 시)
- 유형별 필수/선택 항목은 세부 안내에 따름
※ (1편) 제도 ‘뼈대’ 정리입니다. (2편)에서 Q&A·사례·체크리스트·캘린더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 생성” 라벨 의무화… AI기본법 시행령 입법예고 핵심 정리 (0) | 2025.11.13 |
|---|---|
| (2편) 실시간 소득파악 Q&A·사례·체크리스트 (0) | 2025.11.07 |
| 상속세 일괄공제 7억·배우자 10억 상향 추진, K-콘텐츠 IP 세액공제(안) (0) | 2025.11.07 |
| 직원보호 전담 변호팀·국제조사 강화·K-SUUL AWARD|조직문화·대외지원 변화 정리 (0) | 2025.11.03 |
| 상주조사 최소화·체납관리단 신설|민생 중심 세정 변화와 대응법 (0) | 202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