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관세청, 초국가 범죄자금 ‘3대 통로’ 전면 차단… 126명 추적팀 가동

by 임셈 2025. 11. 19.
반응형

관세청, 초국가 범죄자금 ‘3대 통로’ 전면 차단… 126명 추적팀 가동

관세청이 환치기(불법송금)·외화 밀반출입·무역기반 자금세탁 등 초국가 범죄의 핵심 자금 통로를 봉쇄하기 위해 126명 규모 ‘범죄자금 추적팀’을 출범시키고 특별단속에 착수했습니다. 금융정보분석원(FIU) 위험정보(STR) 분석, 공항·항만 휴대품 검사 강화, 행정조사 병행 등 입체적 대응이 예고됩니다.


✅ 한눈에 보는 핵심

  • 조직·인력: 본청 외환조사과장 총괄, 126명 전담팀 가동(전국 세관 참여).
  • 중점 3대 유형: ① 불법송금(환치기) ② 외화 밀반출입 ③ 무역 악용 자금세탁.
  • 근거 데이터: 최근 5년 환치기 단속 규모 약 11.4조원, 이 중 83%가 가상자산 연계.
  • 현장 조치: 공항·항만 휴대 반출입 검사 강화, 위조 유가증권 반입도 병행 단속.
  • 수사 방식: FIU 위험거래 분석으로 가상자산 환치기 및 전문외국환업체 일탈영업 집중 점검.

왜 지금 단속하나?

해외(특히 동남아) 근거지의 보이스피싱·불법도박·마약 등 초국가 범죄가 급증하면서, 범죄수익이 환치기·밀반출·무역거래 가장을 통해 해외로 유출되는 악순환이 고착화되었습니다. 이번 특별단속은 범죄조직의 경제적 기반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단속 프레임: ‘3대 통로’ 정조준

  1. 불법송금(환치기): 등록 금융회사를 거치지 않는 음성적 외환이체·가상자산 활용형 포함.
  2. 외화 밀반출입: 공항·항만에서 현금·수표 등 은닉 휴대로 출·입국.
  3. 무역기반 자금세탁(TBML): 가격조작·허위거래 등으로 범죄자금에 합법 외관 부여.

현장 집행 포인트

  • FIU·금감원·공항공사 등과 정보공유 확대, 우범 네트워크 분석
  • 공항·항만 휴대품 검색우범국가발 여행자 집중검사
  • 전문외국환업무취급업자(환전·소액송금업) 법정범위 일탈 점검

숫자로 보는 최근 5년 동향

구분 합계(최근 5년) 특이사항
환치기 단속 규모 약 11.4조원 가상자산 연계 83%
외화 밀반출입 단속 규모 약 2.4조원 올해 대형 사건 다수
가격조작·자금세탁(무역기반) 수천억~수조원대 적발 사례 누적 TBML 정조준

※ 수치는 관세청 공개자료 및 국내 주요 매체 보도 종합(최근 5년 누적 기준).


자주 묻는 질문(FAQ)

Q1. ‘가상자산 환치기’는 어떻게 잡나?

FIU 위험거래(STR), 전자지갑 패턴, 해외 현금인출·무역서류 등을 교차분석해 연결고리를 포착합니다. 필요시 타기관에 신속 통보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합니다.

Q2. 여행 중 휴대 현금 한도는?

정해진 신고·허용 범위를 벗어나 은닉 휴대로 반출입하면 밀반출입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합법적 신고·증빙이 중요합니다.

Q3. 합법 무역과 TBML의 경계는?

가격·수량·품질 왜곡, 허위계약·서류, 페이퍼컴퍼니 동원 등으로 거래실체가 불투명하면 자금세탁 의심대상에 오릅니다.


사업자·개인 필수 체크리스트

  • 송금 경로 합법성: 은행·등록업자 이용, 출처·용도 증빙 보관
  • 현금 휴대: 출·입국 시 신고요건·한도 준수, 은닉 금지
  • 무역서류: 인보이스·B/L·계약서 실거래 일치, 가격 왜곡 금지
  • 가상자산: OTC·지갑 사용 시 KYC/AML 위험 확인, 의심거래 차단
  • 내부통제: 우범국가 거래·3국 중계거래 사전심사·컴플라이언스 기록화

한 줄 정리: 관세청은 환치기·밀반출입·TBML 등 ‘3대 통로’를 정면 겨냥했습니다. 해외유출로 범죄조직에 동력이 되는 자금 이동을 초기에 끊는 게 목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