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너스] 초보를 위한 세무 용어집 50

by 임셈 2025. 10. 12.
반응형
[보너스] 초보를 위한 세무 용어집 50 — 이미지 카드 버전
2025-10-12 업데이트 · 국세청/법조문 참고

[보너스] 초보를 위한 세무 용어집 50 — 이미지 카드 버전

카드 형태로 재구성했습니다. 1문장 정의 + 1줄 예시만 빠르게 읽고, 자세한 설명은 시리즈 본편으로 이동하세요.

A 소득/배당/이자 B 과세/신고 C 계좌/상품 D 해외/조세조약 E 회계/평가
A
이자소득
돈을 맡기거나 빌려줘서 받은 대가.
예) 예금·채권 이자
A
배당소득
투자 이익을 회사가 나눠 준 금액.
예) 주식 배당, 일부 펀드 분배
A
금융소득
이자+배당을 합친 소득 묶음.
예) 연간 합계 2,000만원 기준
A
배당기준일
배당 받으려면 보유해야 하는 날짜.
예) 기준일 다음 날 배당락
A
배당락
배당만큼 주가가 이론상 조정되는 현상.
예) 배당 1,000원 → 다음 날 -1,000원
A
배당성향
순이익 중 배당으로 나가는 비율.
예) 배당성향 40%
A
표면이자
채권에 약속된 정기 이자율.
예) 연 4% 쿠폰
A
할인발행차익
액면가보다 싸게 사서 만기에 얻는 차익.
예) 9.5만 매수→10만 상환
A
분배금
펀드·ETF가 성과를 나눠 지급한 금액.
예) 월/분기 분배형 ETF
A
실적배당
운용 성과에 따라 달라지는 배당.
예) MMF형 CMA 분배
B
원천징수
지급 시 먼저 떼는 세금.
예) 국내 배당 15.4%
B
종합과세
금융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쳐 누진세로 정산.
예) 연 2,000만원 초과 시
B
분리과세
다른 소득과 합치지 않고 따로 과세.
예) 일부 ISA 수익
B
비과세
법으로 세금을 면제.
예) 요건 충족 저축성 보험차익
B
과세표준
세율을 적용하는 기준 금액.
예) 소득−공제
B
누진세율
소득이 클수록 세율이 올라가는 구조.
예) 과표 구간별 세율
B
세액공제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빼주는 제도.
예) 외국납부세액공제
B
소득공제
과세표준 자체를 줄이는 제도.
예) 일부 연금저축 납입
B
기납부세액
이미 낸 세금.
예) 원천징수 세액
B
가산세
신고 지연·누락 시 추가되는 세금.
예) 무신고 가산세
반응형
C
ISA
여러 상품을 담는 절세 통합계좌.
예) 비과세/분리과세 한도
C
연금저축
노후 준비용 계좌로 세액공제 혜택.
예) 장기 보유 유리
C
IRP
퇴직연금 개인형 계좌, 인출 규칙 엄격.
예) 추가 납입 세액공제
C
ETF
지수 추종 상장펀드.
예) 분배형/적립형
C
펀드
여러 자산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
예) 주식형/채권형
C
CMA
단기 자금 운용 계좌.
예) RP형=이자, MMF형=배당
C
RP
환매조건부채권 거래로 약정 수익률 수취.
예) 단기 운용
C
MMF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예) 실적배당 분배
C
적립형/분배형
수익을 재투자/현금지급하는 방식.
예) 적립형은 현금 분배 없음
C
만기
약정이 끝나는 시점.
예) 채권 만기 상환
D
원천세(해외)
해외에서 먼저 떼는 세금.
예) 미국 배당 원천세
D
외국납부세액공제
해외에서 낸 세금을 국내 세액에서 공제.
예) 한도 내 공제
D
조세조약
국가 간 이중과세를 줄이는 약속.
예) 조약에 따른 세율 경감
D
세율 한도
조세조약이 정한 최대 원천세율.
예) 배당 10% 한도(국가별 상이)
D
W-8BEN
미국 투자 시 제출하는 납세정보 양식.
예) 조세조약 적용 요건
D
환급(리클레임)
과다 낸 외국세액을 돌려받는 절차.
예) 유럽 일부 국가 환급
D
국외원천소득
국외에서 발생한 소득.
예) 해외 배당
D
환율 적용
외화를 원화로 바꾸는 기준.
예) 과세연도 평균/기준환율
D
거주자/비거주자
세법상 주소·거소 기준의 구분.
예) 거주자는 전세계 소득 신고
D
세액공제 이월
공제 한도 초과분을 다음 해로 넘김.
예) 외국납부세액공제 이월
E
FVPL
공정가치 변동을 손익에 바로 반영.
예) 파생 포함 평가손익
E
FVOCI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에 반영.
예) 매도가능증권 유사
E
ECL
기대신용손실, 부도 가능성 반영한 손상.
예) 채권자산 손상 충당
E
평가이익·손실
보유 중 가격 변동으로 생긴 손익.
예) ETF 평가손익
E
실현손익
매도·상환 등으로 확정된 손익.
예) 채권 매도차익
E
취득가액
자산을 산 실제 가격.
예) 수수료 포함 매입가
E
세무조정
회계와 세법 차이를 맞추는 절차.
예) 법인세 신고 시
E
지급명세서
지급한 소득·세액을 적은 서류.
예) 배당·이자 지급명세
E
귀속연도
소득이 속하는 과세연도.
예) 지급일 기준
E
과세기간
세금을 계산하는 기간.
예) 개인 1월~12월

참고 링크

2025.09.26 - [분류 전체보기] - [8화] 절세 포트폴리오 설계 — ISA·연금저축·IRP와 금융소득의 조합

2025.09.26 - [분류 전체보기] - [7화] 해외주식 배당·이자 과세 — 원천세·외국납부세액공제 실전

 

반응형